-
연날리기
연날리기는 오랜 옛날부터 전승되어 오는 민족전래의 놀이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음력 12월에 들어서면 농한기에 사람들이 여유가 생기면 연을 띄우기 시작해 정월 대보름 수일 전에 절정을 이룬다. 특히 정월 대보름날 밤이 되면 달맞이를 하고 난 후에 각자 띄우던 연을 가지고 나와 ‘액막이연’에다 ‘액(厄)’자 한 자를 쓰거나 ‘송액(送厄)’ 혹은 ‘송액영복(送厄迎福)’이라는 액을 막는 글을 쓴다. 이렇듯 방패, 새 형상의 연을 날림…
-
중학교 무시험 입학제
1968년 문교부는 「7‧15 개혁안」인 중학교 무시험 입학제를 발표하였다. 중학교 입학 시험제를 폐지하고, 중학교 학교군을 배정하여 학군 내에서 추첨으로 중학교를 배정한다는 것이었다. 입시 준비로 인한 과도한 경쟁에서 벗어나 초등학교 교육을 정상화하고 학교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였다. 1969년 서울시를 시작으로 제주도는 1970년도부터 중학교 무시험 입학제를 실시하였다. 1970년 2월 3일 수동식 추첨기로 진학할 학교를…
-
입학식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입학식이 없었다. 조선의 서당은 수십, 수백 명의 학생이 한꺼번에 입학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 학생들이 들고났기 때문에 신입생을 모아놓고 입학식을 할 수 없었다. 다만 서당에 처음 가는 학동들은 훈장님께 술이나 닭 등의 예물을 갖추는 것이 상례였다.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인 성균관에는 나름대로 요즘 입학식에 가까운 행사가 있었다. 성균관은 1차 과거 시험이라 부를 수 있는 생원・진사시에 합격한 사람들이 입학했기 …
-
과학의 날
우리나라가 현재 세계 10위권의 경재대국으로 성장하기까지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은 과학기술 덕분이었다. 80~90년대 초등학생의 장래희망 1위가 과학자였을 정도로 과학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높았다. 5~60년대 산업발전에 발맞추어 과학기술을 육성하는 정책이 추진되었고, 1967년 4월 21일 과학기술처의 발족일을 기념하여 1968년 4월 21일을 ‘과학의 날’로 정하였다. 1969년 제주도교육위원회는 과학 교육 시설 확충 3개년 계…
-
스승의 날
학창시절, 담을 넘어 도망가는 학생을 단숨에 잡아오시던 체육선생님이 있었다. 2014년 4월 16일, 누구보다 제일 먼저 나왔을 것 같던 그 체육선생님은 아직도 나오지 못하고 계시다. 누구보다 먼저 아이들에게 달려가셨을 호랑이 체육선생님. 무섭지만 정다웠고, 5월이 되면 더욱 그리운 우리 선생님.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1958년 5월 8일 청소년 적십자 단원들이 세계적십자의 날을 맞아 병중에 있거나 퇴직한 교사들을 위문…
-
학교 캠페인의 변천사
캠페인은 의식 개혁을 위한 것으로 언론을 활용하거나 유인물을 나눠주거나, 피켓을 들고 가두 행진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캠페인이란 일정한 장에 있어서의 행동, 특별한 목적을 가진 조직적 활동이란 의미인데 원래는 평원이란 뜻의 라틴어 ‘캄푸스(campus)’에서 유래한 말이다. 평원에서 전개되는 전투가 변화되어 지금과 같은 의미가 된 것이다.
그 중 학교는 캠페인이 많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예전에는 새마을운동이나 공공질서,…
-
여름방학
여름방학은 더위로 학업의 능률이 오르지 않는 때에 학교를 쉬는 기간을 말한다. 여름방학의 목적은 계속되는 학업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면서 심신을 전환하는데 있다. 여름방학 때에는 다음 학기의 학업을 준비하고 부족한 공부를 보충하기도 한다. 그리고 학기 중에는 하지 못 했던 스포츠나 미술, 음악을 배우기도 하고 여름캠프나 여름학교, 봉사활동에 참여하기도 한다. 또 여행을 떠나거나 휴양을 즐기기도 한다.
-
수영대회
요즘 생존수영이 부각되고 있지만 제주는 섬이라는 특성으로 일찍부터 수영에 관심이 많았다. 1929년 7월 제주에서는 처음으로 서부두에서 수영대회가 열렸다. 일본 선수들이 주동이 되어 열린 이 대회는 포구를 누가 빨리 왕복을 하느냐로 순위가 정해졌다. 1950년대 조수인을 중심으로 절정을 이루었던 제주 수영은 1960년대 도지사로 부임한 김영관이 수영 보급을 적극 권장하면서 되살아났다. 1962년 8월 한림포구에서 전도 중·고등학교 …
-
공개수업
공개수업은 학교에서 학부모 또는 교육 관계자에게 교사의 지도 방법이나 학생의 학습 활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하는 수업을 말한다. 교육연구발표회나 교육주간행사 때 주로 시행되었으나, 1997년 4차 교육개혁 당시 학기당 1회 이상으로 공개수업이 의무화되기도 하였다. 수업 전문성 제고나 학부모의 참여 유도, 학교 교육의 신뢰성 신장 등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예나 지금이나 공개수업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부담인 건 사실인 것 같다.
-
인성교육
"인성교육"이란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을 말한다. 그동안 입시와 성적 위주의 학교 현장에서 인성교육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겨졌다. 그러나 제주에서는 교육의 본질이 인성교육이라고 생각하고, 학생예절관(1985년)을 설치하는 한편 학생 수련 교육과 예절교육, 삼무정신 전승, 경로효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인성교육에 힘썼다.…